안녕하세요~!
모아바 입니다.
오늘은 소방설비기사 전기편에 있는
수신기에 대해 함께 살펴보려고 해요.
그럼 지금부터 수신기에 대해
알아볼까요?
· 수신기
: 감지기나 발신기에서 발하는
화재신호를 직접 수신하거나 중계기를 통해
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 표시 및 경보하여 주는 장치
· 수신기의 종류
1) P형 수신기
: 감지기 또는 발신기로부터 발하여지는
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통하여 공통신호로서
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 당해
소방대상물의 관계자에게 경보하여 주는 것을 말한다.
2) R형 수신기
: 감지기 또는 발신기로부터 발하여지는 신호를 직접
또는 중계끼를 통하여 고유 신호로서
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 당해
소방대상물의 관계자에게 경보하여 주는 것을 말한다.
3) GP형 수신기 : P형수신기의 기능 + 가스누설경보기의 수신부 기능
4) GR형 수신기 : R형수신기의기능 + 가스누설경보기의 수신부 기능
5) 방폭형/방수형
6) P형 복합수신기 : P형 수신기 + 자동소화설비의 제어반
7) R형 복합수신기 : R형 수신기 + 자동소화설비의 제어반
8) GP형 복합식수신기 : GP형 수신기 + 자동소화설비의 제어반
9) GR 복합식수신기 : GR형 수신기 +자동소화설비의 제어반
· P형과 R형의 비교
항목 | P형 | R형 |
신호전송방식 | 개별신호방식 (1:1 신호방식) | 다중전송방식 |
신호형태 | 공통 신호 | 고유신호 |
화재표시 | 적색 램프 | 액정표시 (LCD) |
시스템 신뢰성 |
외부선로 이상으로 수신반 고장 시 전체시스템의 마비됨 |
외부선로 이상으로 해당 수신반 고장 시 전체시스템에는 영향이 없음
|
경제성 | 설비 저렴, 공사비 고가 | 설비 고가, 공사비 저렴 |
회로 중설 · 변경 |
어려움 | 쉬움 |
건물 크기 | 중 · 소형 | 대형 |
유지관리 | 어려움 | 쉬움 |
· 수신기 적합 기준
1) 해당 특정소방 대상물의 경계 구역을 각각 표시할 수
있는 회선수 이상의 수신기를 설치할 것
2) 4층 이상의 특정소방대상물에는
발신기와 전화통화가 가능한 수신기를 설치할 것
3)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에 가스누설탐지설비가 설치된
경우에는 가스누설탐지설비로부터
가스누설신호를 수신하여 가스누설경보를
할 수 있는 수신기를 설치할 것
(가스누설탐지설비 수신부 별도 설치시 제외)
· 수신기 설치기준
1) 수위실 등 상시 사람이 근무하는 장소에 설치할 것.
(단, 상시근무 장소 없는 경우 관계인
접근 · 관리 용이 장소 설치가능)
2) 수신기가 설치된 장소에는 경계구역 알람도를 비치할 것.
(다만, 모든 수신기와 연결되어 각 상황을
감시 · 제어 할 수 있는 주수신기를 설치하는
경우에는 기타 부 수신기는 제외)
3) 수신기의 음향기구는 그 음량 및 음색이
다른 기기의 소음 등과 명확히
구별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
4) 수신기는 감지기 · 중계기 · 발신기가
작동하는 경계구역을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
5) 화재 · 가스 전기등에 대한 종합방재반
설치 시 해당 조작반에 수신기의 작동과
연동하여 감지기 · 중계기 · 발신기가
작동하는 경계구역을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
6) 하나의 경계구역은 하나의 표시등 또는
하나의 문자로 표시 할 것
7) 수신기의 조작 스위치는 바닥으로부터의
높이가 0.8m 이상 1.5m 이하인
장소에 설치할 것
8) 하나의 특정소방대상물에 2 이상의 수신기를
설치하는 경우에는 수신기를 상호간
연동하여 화재발생 상황을 각 수신기마다
확인할 수 있도록 할 것
· 수신기 기능시험
1. 화재표시작동시험
1) 시험목적
: 지구표시등, 화재표시등 점등,
음향장치 명동 확인
2) 시험방법
① 수신기 기능 스위치 중
" 동작시험스위치 + 자동복구스위치 " 를 누름
② 회로선택스위치 차례로 회전시켜
회로마다 화재표시 작동시험 확인
3) 가부판정
: 화재표시등 및 지구표시등 점등 여부,
음향장치 작동여부, 회로 연결상태 정상 확인
2. 예비전원시험
1) 시험목적
: 정전시 상용전원에서 예비전원
자동절환 여부 확인 및 정상상태
복구 시 상용전원으로 자동절환 여부 확인
2) 시험방법
① 수신기 스위치 중 " 예비전원 스위치 "를 누름
(예비전원 전압 표시 및 예비전원등 점등 확인)
② 전압계 지시 및 전원표시 절환여부 확인
3) 가부판정
: 전압이 DC 24[V] 지시,
릴레이 정상 작동 시 정상
3. 동시작동시험 (회로수가 2회선 이상)
1) 시험목적
: 2회로 이상 동작 시 수신기 기능
정상 여부 확인
2) 시험방법
① 수신기 스위치 중 "동작시험" 스위치를 누름
② 회로선택스우치 이용 5회로 동시작동 시킴
3) 가부판정
: 회선 동시 작동시 수신기 기능이
정상적이어야 함
4. 공통선시험
1) 시험목적
: 공통선이 담당하고 있는
경계구역 회선수 확인
2) 시험방법
① 수신기 내부 단자에서 공통선을 분리
② 회로 선택스위치를 회선시켜
단선 표시되는 회선수를 파악
3) 가부판정
: 단선 표시 되는 회선수가 7회선 이하이면 정상
5. 회로도통시험
1) 시험목적
: 감지기회로의 단선, 단락 및 접속상태의
이상 유무를 파악
2) 시험방법
① 수신기 스위치 중 "도통시험 스위치"를 누름
② 회로 선택스위치를 회전시킴
③ 각 회선의 계기 지시상태,
종단저항 접속여부 확인
3) 가부판정
① 전압계 지시 약 4[V](녹색) 지시 : 정상
② 전압계 지시 24[V](적색) 지시 : 단락
③ 전압계 지시 0[V] : 단선
※ 종단저항 설치목적 : 감지기 회로 단선,
단락 및 접속상태 이상 유무 파악
여기서 잠깐!
문제를 한 번 풀어볼까요?
문제 : 회로도통시험을 하는 목적으로 옳은 것은?
① 저전압 상태에서 수신기 기능 유지 확인
② 감지기회로의 단선, 다단락 및 접속 상태 이상 유무 파악
③ 공통선이 담당하는 경계구역수를 확인
④ 2회로 이상 동작시 동시 작동 확인
정답 : ②
회로도통시험의 목적은 감지기 회로의 단선, 단락 및 접속상태의 이상 유무를 파악 |
6. 저전압시험
1) 시험목적
: 저전압 상태 (정격전압 80%이하)
수신기 기능유지 확인
2) 시험방법
① 전압시험기나 가변저항기 이용하여
전압을 80 [%]이하로 맞춤
② 화재표시작도이험에 준하는 시험 실시
3) 가부판정 화재신호 정상 수신 여부 확인
7. 회로저항시험
1) 시험목적
: 감지기 회로 1회선 선로 저항이
수신기 기능에 이상 주지 않는 것을 확인
2) 시험방법
① 저항계 사용해 감지기회로
공통선과 표시선 사이의 전로를 측정
② 회로 말단 단락 시켜
도통 상태에서 선로 저항 측정
3) 가부판정
: 하나의 감지기회로의 전로저항의
합성치가 50Ω 이하
저와 함께 수신기에 대해
알아보았는데요.
수신기에 대해 외워야할 부분과
이해를 하고 알아야 할 부분이
엄청 많은 거 같아요.
제가 소방설비기사를 준비하시는 분들께
조금이나마 도움이 됐으면 좋겠어요!
혹시나 공부하시다가
어려운 점이나 모르는 점이 있다면
모아바 인강과 함께 공부해봐요~!
※ 모아바 사이트에 들어가셔서
오른쪽에 있는 할인모아를 누르시면
다양한 할인혜택을 받아보실 수 있으니
꼭 확인해보세요!
'소방분야 > 소방설비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소방설비기사 기초의 발견 _ 모아바 소방설비기사인강 (0) | 2020.04.13 |
---|---|
소방설비기사 전기 실기 합격의 비법 _ 가닥수 뽀개기! (0) | 2020.04.10 |
소방설비기사 합격의 격을 높이다! (0) | 2020.04.08 |
소방설비기사 세번의 도전, 그리고 합격 (합격수기) (0) | 2020.02.14 |
소방설비(산업)기사 응시준비 및 공부방법 (0) | 2020.01.15 |